목록투자 (191)
snowwork

1. 주가 급락룰루레몬이 지난 금요일 개장 전 급락했다.25Q1 실적발표 이후 나타난 시장 반응이며,1분기 실적 자체는 시장 기대를 상회했으나가이던스 하향에 따른 실망감이 더욱 컸다. 회사 측 가이던스25Q2 - EPS $2.85~2.9(Est $3.01) 매출 $2.53~2.56B(Est $2.58B)2025 - EPS $14.58~14.78(Est $14.86) 매출 $11.15~11.3B(Est $11.25B) 주요 원인은 1. 관세 영향 2. 시장 내 경쟁 이다. 2. 주목할 부분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지역 매출이 2% 성장에 불과했다.다만 회사에서 강조하는 점은 국제 매출의 성장이다.국제 매출은 19%의 성장률을 보였고, 특히 중화권 매출이 21% 성장하였다.지난 해까지 해외매출 비..

1. 1분기 실적 컨센서스5월 15일 저녁, 알리바바 올 1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컨센서스는 EPS 12.6, 매출 2,383억 위안이다.전년 동기 대비 EPS +24%, 매출 +7%가 예상되고 있다. 지난 4분기 발표는 역대 최고 매출을 경신하며 EPS +8%, 매출 +1% 서프라이즈로 나타났다.발표로 주가는 14% 상승했다. 컨센서스 상으로 역대 1분기 매출 중 최고치가 예상되는 터라,최근 관세 완화 이슈와 더불어 주가에 상승압력을 줄 수도 있겠다. 2. 24년 1분기 발표 검토1분기 주요 실적은 매출 +9%, 영업이익 +13%, 순이익 +9%(YoY)로,매출액 기준 중국 이커머스(타오바오-T몰)과 해외 이커머스(AIDC), 물류(Cainiao) 기여가 컸다.특히 알리 익스프레스를 포함하는 ..

1. 관세 협상 타결지난 주말 5월 10~11일 양일에 걸쳐 미중 대표단이 스위스에서 무역협상 회담을 가졌다.기존에 미국이 중국에 설정한 관세는 145%, 중국이 미국에 설정한 관세는 125%였는데발표 결과, 미-> 중 30%, 중->미 10%로 100%p가 넘는 관세율을 롤백하였다.추가적으로 90일이라는 협상 기간을 달아놨으며 추가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시장의 기대보다 더욱 진전된 협상이었다. 2. 시장 반응증시는 한때 지난 6개월~1년 간의 상승분(5000->6000pt)을 반납했다. 결과적으로 이번 관세 이슈는 엄청난 기회였다.시장이 고질적인 미중 무역분쟁에 이리도 예민하게 반응한 것은무엇 때문일까? 3. 해방의 날이번에는 뭔가 달랐다.트럼프는 2월부터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
24년 여름부터 시장의 밸류에이션에 대해 고민하다가 중국 쪽을 보게 됐고 바닥 구간의 반등 여지가 있길래 장기 보유를 하게 되었다. 특히 어닝 이슈가 있었던 알리바바를 우연찮게 보유하게 되었다. 기업의 규모나 하고있는 사업의 종류 등 특히 이커머스, 클라우드가 중요했다. 중간중간 돈 쓸 데가 있어서 부분매도도 했으나 여전히 포트 100%를 차지하고 있다. 옵션도 조금 했는데 +800%도 구경했다 요 며칠간 딥씨크 이슈로 미국 빅테크나 엔비디아 조정이 있었고 중국 ai 기술이 인정받으며 자금이 일부 이동중인 것 같다. 알리바바도 ai서비스를 내놓으며 딥씨크와 챗지피티를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표명하는데 실상은 모르겠고 괜찮은 모멘텀인 건 확실하다.이 모멘텀으로 거의 20프로 정도 오른 것 같은데, 중국 ai의..
침체, 안정성 지난 2년간 떠돌았던 경기침체 이슈는 미 정부의 적절한 완화정책으로 진정된 모습이다. 미국 경제는 아직 탄탄하고 침체를 전망했던 전문가들이 이제는 홀대받고 있는 상황이다. 5.5% 수준의 고금리에도 경기가 꺼지지 않으니 쉽게 예견했던 자들이 민망해할만 하다. 다만 여전히 앞으로가 문제이다. 그동안 경제가 탄탄하다고 보이는 근거는 기업들의 실적, 고용지표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물가마저 하락하니 주가에는 더 없이 좋은 환경이었으며 금리인하를 앞두고 있다는 전망도 주가를 불태웠다. 결과적으로 23년 3분기부터 현재까지 엔비디아를 필두로 주가가 많이 올라주는 모습이다. 대부분의 산업에서 신고가가 출몰하는 등 좋은 모습을 이어왔기 때문에 향후 3~6개월간은 쉬어갈만한 측면도 있다고 본다. 그래..
메타 사업부문 메타의 사업은 Family of Apps (FoA)와 Reality Labs (RL)로 나뉜다. 현재 대부분의 메타의 수익은 광고 수익으로 FoA 부문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의 어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로부터 발생한다. RL 부문은 VR기기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컨텐츠 제품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 등이 발생한다. 최근, 코멘트 메타가 1분기 실적 발표와 동시에 첫 배당을 공개하며 주가가 하루만에 20%, 시가총액 2000억 달러가 증가하였다. 역대 최대 매출과 EPS로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 덕도 있었겠지만 창립 이래 첫 배당을 발표한 것이 주가를 상승하는 데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메타의 수익성, 그동안에 쌓아왔던 현금을 생각해보면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