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워렌버핏 (10)
snowwork

이하 2023.2 기준 사업보고서 내용 마스터카드는 미국 및 해외에서 거래 처리 및 기타 결제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결제 산업의 기술기업이며 전 세계의 개인과 금융기관, 법인, 정부, 디지털 비즈니스 등을 대상으로 안전하고 간단하며 접근이 용이한 전자 결제를 제공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로는 가장 알려진 Mastercard와 직불 관련 Maestro, ATM 브랜드 Cirrus가 있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2.2B, 순이익은 $9.9B이며 희석 EPS는 $10.22이다. 운영 현금흐름은 $11.2B인데 주주이익에 $10.7B를 사용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자사주 매입 $8.8B와 배당 $1.9B를 합한 금액이다. 한 해 Mastercar..
워렌 버핏을 모방하여 위대한 투자가가 되었다고 일컬어지는 모니시 파브라이 현대에도 통할만한 좋은 기업을 찾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공개했다. 총 6단계 순서대로 1. 모르는 주식은 제외한다. 2. 팔로우하는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3. Value Investor Club에서 찾아본다. 4. 지난 몇 십 년 간의 주주서한을 읽어본다. 5. 지난 몇 년 간의 어닝콜을 확인한다. Q&A를 특히 확인한다. 6. 재무 데이터와 사업보고서를 읽어본다. 스스로 진단을 해봤을 떄 1, 2는 하는 것 같고 3의 VIC는 처음 알게 되었다. 4는 의외여서 적용해볼 법 하고 5의 Q&A 세션도 살펴볼 만 한 것 같다. 그는 가치투자자이기 때문에 스타일이나 포지션을 고려해서 모방할 것
실리콘밸리 은행, 크레딧스위스 이후 First Republic Bank까지 은행들에 대한 이슈가 최근 시장의 가장 큰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실리콘밸리 은행의 경우 스타트업, 벤처 등 코로나 버블 이후 가장 빠르게 식어버린 분야의 은행이라 뭐 그러려니 하고 넘겼다만, 그 이후엔 물론 빌황사태도 있었던 크레딧 스위스와 First Republic Bank라는 소형 은행까지. 여느 때와 다름없이 시장에는 2008 금융위기를 운운하며 역대급 위기를 예고하곤 하는데 아직 직접적으로 체감되는 것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오늘 글 하나를 남길까 하는 것은 몇 가지 짚어갈 점이 있어서이다. 첫 번째는 급작스러운 대형은행들의 First Republic Bank 예치. $ 30B 정도 되는 금액이 규제기관의..

11월 14일 버크셔 해서웨이의 3분기 주식 공시가 발표되었다. 주요 매매를 살펴보면, 신규 매수 - TSMC(반도체) 가장 핫한건 대만의 반도체 회사 TSMC이다. 금분기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위 보유 20개 종목중 10번째로 추가되었다. 꽤 규모가 큰 베팅이다. 올해 계속 떨어져 반토막이 났는데 매력적이었는 모양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시각도 있음 장기간을 염두하고 투자한 것이라 해석했을 때 중단기적인 반도체 수요 회복을 점치기는 어렵다고 보임 - Louisiana-Pacific Corporation(건설) 건설자재 회사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c.(금융) 종합 금융회사 추가 매수 - OXY, CVX(에너지) 올해 그가 가장 적극적으로 투자한 섹터가 아닌가..
https://youtu.be/c8zRNM-7Ka0 개인적으로 가장 위대한 투자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워렌 버핏이다. 흔히 알려진 가치투자 뿐만 아니라 행동주의, 차익거래 등 다양한 투자방식을 구사하며 계속해서 새로운 기업들에 투자하는 열린 사고방식까지. 애플, 블리자드 등 최근에는 옥시덴탈 등의 에너지 주에 관심이 있어 보인다. 아무튼 사이즈로만 봐도 가장 거대한 투자자이고 시장에 꽤 오랫동안 참여하고 있으니 여러모로 배울 점이 많다. 위는 워렌버핏의 일대기를 자금 규모로 끊어서 3편으로 기획한 유튜브 영상이다. 그 중 2편으로 본격적인 그의 성공적인 투자 커리어에 관한 내용이 이어진다. 1편의 내용은 잘 기억은 안 나는데, 버핏이 어렸을 적부터 돈에 집착하는 사람이었고 대학생 신분으로 사업도 하고 성..

금일 있었던 OPEC 회의에서 일 200백만 배럴 감산이 합의되었다. 기존에 언급되던 일 100~150만 배럴 수준을 훨씬 웃도는 감산이다. 유가는 발표 후 2%가량 상승하다가 주춤하는 모양세이다. 3분기 내내 내렸던 유가가 이번주는 잠시 오르는 모습 바이든은 이에 대해 우려된다는 반응, 비축유를 계속 방출한다는 입장이지만 미국의 전략비축유는 8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 사우디와의 관계도 개선되진 않은 모양이다. 유가의 단기적인 상승보다 중요한 것은 중장기적인 전망 금리가 증시를 쥐고 있는 상황에서 유가를 제외하곤 달리 영향을 줄만한 큰 요인들은 보이지 않는다. (이외 크레딧 스위스 정도가 가장 영향력있는 이슈인듯 하다.)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로선 경제(수요), Capex, 러시아 정도가 아닌가 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