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5)
snowwork
다사다난했던 2022년도 거의 다 끝나간다. 가장 뜨거웠던 이슈는 거시경제인 것 같다. 인플레이션율은 10% 근처까지 오르다가 꺾였다. 근 40년간 볼 수 없었던 인플레이션이었으니 이에 대해 잘 아는 사람도 몇 없었던 것 같다. 연준도 실수할 정도이니. 금리를 가파르게 올린 것이 인플레이션을 그나마 꺾었다고 봐야겠다. 자산시장이 내려앉기 시작했고 이제는 실물경제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인플레이션은 잡혔지만 씁쓸함이 남았다. S&P 500을 보면 체감상 그리 많이 떨어진 것 같지는 않다. 지난 2,3 년 간 너무 가파르게 올라서 비교적 하락에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분위기이다. 감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아직 여유가 있는 상태이지 않나 싶다. 주가/GDP를 나타낸 버핏지수를 보면 더욱 그렇다. GD..
11월 14일 버크셔 해서웨이의 3분기 주식 공시가 발표되었다. 주요 매매를 살펴보면, 신규 매수 - TSMC(반도체) 가장 핫한건 대만의 반도체 회사 TSMC이다. 금분기 버크셔 해서웨이의 상위 보유 20개 종목중 10번째로 추가되었다. 꽤 규모가 큰 베팅이다. 올해 계속 떨어져 반토막이 났는데 매력적이었는 모양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시각도 있음 장기간을 염두하고 투자한 것이라 해석했을 때 중단기적인 반도체 수요 회복을 점치기는 어렵다고 보임 - Louisiana-Pacific Corporation(건설) 건설자재 회사 - Jefferies Financial Group Inc.(금융) 종합 금융회사 추가 매수 - OXY, CVX(에너지) 올해 그가 가장 적극적으로 투자한 섹터가 아닌가..
https://www.oaktreecapital.com/insights/memo-podcast/the-rewind-global-financial-crisis The Rewind - Global Financial Crisis Opens in a new window Opens an external site Opens an external site in a new window www.oaktreecapital.com 글로벌 금융위기와 관련된 하워드 막스의 메모 중 2007년 2월 14일에 기고된 The Race to the Bottom 2008 금융위기 이전 뜨거웠던 자산시장을 지적했다. 일부 모기지에서는 손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화폐 절하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해서는 경쟁업체 대비 가격을 싸게 판매해야 한다..
- 중국 생산자 물가 마이너스 전환 유력 - 이에 따라 미국 및 유럽 물가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도 있음 - 미국 10월 실업률 3.7%로 예상 3.5%를 상회 - 시간당 임금은 전월대비 상승(0.31%->0.37%) 전년대비 하락(4.98%->4.73%) - 달러화 약세 1400원 아래로
* 쓰다가 전부 날아가서 간단히 요약 일본 저렴한 양식체인 대부분 일본 현지, 중국, 대만, 홍콩 등 해외지점 참고 - 운영손익 흑자전환하였으나 코로나 이전 회복 못하고 있음 - 증가 요인도 비용절감에 의한 것(시설, 인건비) -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 변수가 없다(수요증가, 해외진출?) - 주가는 2019년 수준, 수익성은 훨씬 덜한데 회복을 예상하는 심리, 전망에 대한 심리가 있는 듯 - 경기 악화로 인한 수혜가 있을까 관심이 감 - 월마다 Sales 실적을 올림. %로 올라와서 명확한 파악은 어려운 듯 IR: https://www.saizeriya.co.jp/corporate/en/investor/ir/ IR News|To Our Shareholders and Investors|SAIZERIYA ..
https://finance.naver.com/research/invest_read.naver?nid=25437&page=1 패닉의 경제학: 2022년 노벨 경제학상 분석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 벤 버냉키, 1983 - 더글라스 다이아몬드, 필립 디비그, 1983 The Diamond-Dybig model - 개인이 급하게 구매력이 필요할 때 자본을 단기간에 처분하여 현금을 마련하기 어려움 - 금융 중개기관은 유동 부채를 매각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수요를 예측해 적절한 유동성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 - 유동성을 빌려 유동성이 낮은 자산에 투자하는 경우 승수가 따라옴 (사람들이 시스템이 정상적이라 믿을 때 그렇게 되고,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