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work

알리바바(BABA), 1분기 실적 발표 준비하기 본문

투자/기업분석

알리바바(BABA), 1분기 실적 발표 준비하기

denk 2025. 5. 13. 19:35

1.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알리바바 `24.4분기 실적 및 `25.1분기 예상

5월 15일 저녁, 알리바바 올 1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컨센서스는 EPS 12.6, 매출 2,383억 위안이다.

전년 동기 대비 EPS +24%매출 +7%가 예상되고 있다.

 

지난 4분기 발표는 역대 최고 매출을 경신하며 

EPS +8%, 매출 +1% 서프라이즈로 나타났다.

발표로 주가는 14% 상승했다.

 

컨센서스 상으로 역대 1분기 매출 중 최고치가 예상되는 터라,

최근 관세 완화 이슈와 더불어 주가에 상승압력을 줄 수도 있겠다.

 

2. 24년 1분기 발표 검토

알리바바 `24.1분기 실적

1분기 주요 실적은 매출 +9%, 영업이익 +13%, 순이익 +9%(YoY)로,

매출액 기준 중국 이커머스(타오바오-T몰)과 해외 이커머스(AIDC), 물류(Cainiao) 기여가 컸다.

특히 알리 익스프레스를 포함하는 해외 이커머스46% 성장하였고,

이와 연계하는 물류 사업 또한 28% 성장하였다.

 

알리바바 사업부 구성

6개 부문 사업부는 위 그림과 같으며,

중국 이커머스가 39%로 클라우드+해외+물류(31%)를 합한 것보다 크다.

따라서 중국 이커머스가 가장 중요하며 이외 해외 이커머스, 클라우드 순으로 중요성이 커보인다.

 

사업부별 특이사항으로는,

중국 이커머스: 상품 거래액 및 구독제인 88VIP 회원수의 두자리 수 성장

클라우드: 클라우드 두자리 수 성장, AI제품 세자리 수 성장(IT, 금융, 자동차 등)

클라우드 사업부는 저마진 프로젝트를 줄이는 과정에서 성장률이 깎인 것(연 3%)으로 설명하고 있다.

해외 이커머스: 3~5일 내 배송하는 '초이스' 서비스의 기여가 컸으며, 동남아 사업은 적자폭을 줄이고 있는 중이다.

물류: 알리 익스프레스 의존이 크고, 별도 홍콩 IPO 추진 중에 있다.

생활: 배달, 지도 서비스가 성장을 견인했다.

미디어: 영화 티켓 수익 등이 성장을 견인했다.

기타: 리테일, 헬스케어 브랜드는 부진. 신선식품 배송 브랜드는 성장하고 있다.

 

알리바바 `24.1분기 주주환원 현황

마지막으로, `23.1분기~`24.1분기 자사주 매입 규모는 총 주식 대비 5.1% 수준이다.

 

*

`24.1분기 실적 자료를 통해 보자면,

중국 이커머스 사업의 안정성

해외 이커머스,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 추세가 주목되는 부분이다.

지난 1년간 해외사업 인프라, 데이터센터 등 침체 대비 투자를 이어왔기에 견조한 성장이 기대되며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려갈지도 관심이 간다.

 

(최근에는 Qwen3이라는 자사 AI 모델을 출시하여

전세계 기준 성능에서는 5위, 가격 면에서는 1위라고 한다.

딥시크 R1보다 나은 성능과 가격인데 주가 영향은 미미한 모습이다.)

 

-참고-

https://www.alibabagroup.com/en-US/ir-financial-reports-financial-results

 

Alibaba Investor Relations - Alibaba Group

 

www.alibabagroup.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