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work
[투자전략 리포트] SVB가 주는 교훈 - 하워드 막스 메모 본문
23년 4월 17일
오크트리 홈페이지에 게시된 하워드 막스의 메모에 대한 요약이다.
원문이 아니라 요약, 개인 해석을 포함함
하워드 막스가 지난 지역은행 사태에 대해 많은 질문을 받았나보다.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을 기점으로 2008과 같은 은행위기가 올 것인지, 말 것인지 하는 것들의 질문들.
메모에서 그는 이런 질문들에서 벗어나 이러한 이슈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하고자 한다.
그가 말하길, 중요한 것은 은행의 실패가 투자와 대출을 꺼리게 하고 전방위 산업에 걸쳐 신용이 긴축되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SVB의 다른 은행과의 차이점
- SVB는 다른 지역 은행과는 달리 유독 변동성이 높은 스타트업 섹터와 북부 캘리포니아 지역에 집중된 은행이었다.
- 예금액이 충분했던 SVB는 2020~2021년 사이에 미국 정부의 국채와 모기지를 910억 달러 어치 샀다. 이는 전체 예금의 50%로 일반적인 은행의 25%보다도 훨씬 많은 수준이었다.
- 연준이 금리를 올리고 채권가격이 급격히 하락했다. SVB가 가지고 있는 채권은 만기가 매우 길었기에 하락폭이 더 컸다. SVB가 가진 채권의 가치는 210억 달러 하락했다.
- 소문을 들은 예금자들이 돈을 인출하기 시작했다.
- SVB 예금액 94%는 FDIC가 보증하는 25만달러를 넘어서는 금액이었으며 이는 개인의 소유라기보단 기관의 소유로 보였다. 기관은 서로 아주 친밀하고 정보교환이 잦아 소문이 매우 빠르게 퍼진다.
이러한 점들이 SVB의 위기를 부추겼고 때문에 이가 다른 은행 시스템 위기로 번진다고 생각지 않는다.
SVB의 다른 은행과의 공톰점
- 은행은 짧게 빌리고(예금) 길게 빌려준다(대출). 뱅크런에 대응할 수 있는 은행은 없다. 은행입장에서 기준금리가 오르면 예금금리도 올라 고객에게 줘야할 이자비용은 커지고, 장기대출은 금리가 고정되어 올릴 수 없어 자본손실이 커진다.
- 은행은 기본적으로 레버리지가 매우 높다. 이 또한 예금과 대출의 불균형에 의한 것이다.
- 은행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다. => 은행은 본질적으로 레버리지가 높은 채권 투자자이다.
소셜미디어의 등장은 은행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소문이 급속도로 퍼지고 온라인으로 인출이 쉬워지면서 SVB의 예금 3분의 1 이상이 하루만에 빠져나갔다. 기술친화적인 SVB의 고객을 생각하면 이러한 위험은 더욱 컸다고 볼 수 있다.
1. 대출을 하지 않고 채권을 너무 많이 산 점 2. 만기가 긴 채권을 산 점 3.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한 점 4. 예금자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빠져나간 점
이 네가지가 SVB를 위기에 빠뜨렸다고 할 수 있겠다.
'투자 >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 리포트] 원자력 - 하나증권 (0) | 2023.09.19 |
---|---|
[산업 리포트] 15개 차트로 알아본 생성AI 전망-맥킨지 (1) | 2023.09.06 |
[산업 리포트] 석유 시장 23년 1월 - IEA (0) | 2023.01.26 |
[투자전략 리포트] The Race to the Bottom 2008 금융위기-하워드 막스 메모 (1) | 2022.11.09 |
[경제 리포트] 2022년 노벨 경제학상 - 버냉키, 다이아몬드, 디비그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