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work

퀀트로 가치투자하라 (2) 본문

데이터 분석/퀀트

퀀트로 가치투자하라 (2)

denk 2021. 9. 5. 00:47

 

 

 

 

 

PFD지표는 자금난 발생 가능성을 0~100%로 나타낸 것이다. 지난 STA, SNOA, PMAN 지표에 이어 위험 지표로 PFD를 구해봤다. 산식은 다음과 같다.

 

LPFD = -20.26*NIMTAAvg + 1.42*TLMTA - 7.13*ExRetAvg + 1.41*Sigma - 0.045*RSize - 2.13*CashMTA + 0.075*MB - 0.058*Price -9.16

 

PFD = 1/(1+e^-LPFD)

 

NIMTA = (분기순이익 / MTA) 의 가중평균 

MTA= 총자산의 시가총액 = 부채의 장부가치 + 주식의 시가총액

TLMTA = 부채총액 / MTA

CashMTA = 현금 및 현금등가물 / MTA

ExRet = [log(1 + 주식 투자수익률) - log(1 + S&P500 총 수익률)] 의 가중평균

Sigma = 선행 3개월간 주가의 표준편차를 연간으로 환산한 값

RSize = log(시가총액 / S&P500 전체 시가총액)

MB = MTA / 수정장부가치 수정 장부가치= 장부가치 + 0.1 *(시가총액 - 장부가치) 여기서 장부가치는 자본(자산-부채)

Price = log(최근주가). 이떄 15달러를 최댓값으로 제한해서 주가가 20달러인 주식이라면 log(20) 대신 log(15) 를 부여한다.

 

이번엔 지난 번 분석했던 Harmony Gold(HMY)로 진행을 했고 모든 수치는 안정적이었다. 특히나 PFD 지표는 1퍼센트를 보여주었다.

 

다음 장은 경제적 해자에 대한 내용이었다. 본격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지닌 기업들을 찾아내는 방법들을 연구한다.

 

 

 

 

 

이를 발굴할 수 있는 지표의 일환으로, 워렌 버핏이 애용했다는 ROIC 투하자본 대비 수익률을 통해 기업을 추려보았다. marketinout.com을 참고해 ROIC가 높고 부채비율이 좋고 EPS가 높은 일부기업들을 선정했다.

 

AMD ROIC 89.06 EPS 2.8

AMD

AVNW ROIC 88.73 EPS 5.35

AVNW

CROX ROIC 95.24 EPS 10.01

FLGT ROIC 156 EPS 17.31

BNTX ROIC 157 EPS 19.05

MED ROIC 293 EPS 12.68

CPRX ROIC 237 EPS 0.7

 

 

 

 

전반적으로 부채비율은 50%에 못 미칠 정도로 준수했고 책의 내용에 따르면 ROIC가 6, 70 정도면 꽤 훌륭한 정도라고 한다. 위의 기업들은 그에 비하면 굉장히 높은 ROIC를 보여준다. (여기에 업종 대비 상대적인 수준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눈에 띄는 기업은 익히 들었던 AMD, CROX, CPRX가 있다. AMD는 워낙 유명한 반도체 기업이고 크록스도 최근 인플레이션과 소비재 이슈에 주목을 받았던 기업이다. 그 유명한 슬리퍼를 만드는 기업. 나름 이 두 기업은 인기 주식이다.

 

CPRX, Catalyst Pharmaceuticals은 요새 유독 언급이 많은 기업인 것 같다. 옵션 관련 리스트에서 본적이 있고 이 책을 먼저 리뷰한 블로그에서 최근 투자를 하고 있는 종목이다. AMD와 CROX를 제외하고 나머지 종목들을 주시해봐야겠다.

 

 

 

 

 

 

 

GPA는 (매출-매출원가)/총자산으로, 손익계산서 상단에 위치한 수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MF_ROIC 마법공식ROIC 는 EBIT / MF_IC를 한 것으로, 여기서 MF_IC는 순고정자산 + 순운전자본이다.

FCFA(8)은 8년간 잉여현금흐름 합계를 총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이 지표들은 상대적인 지표로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다른 기업의 데이터도 긁어와서 정렬하는데 써보면 좋을 것 같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