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work

Perpetual Swap Funding Rate 본문

투자/리뷰

Perpetual Swap Funding Rate

denk 2021. 11. 10. 20:18

 

파생상품에는 대표적으로 선물, 옵션, 스왑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스왑을 선물에 빗대어서 설명해보자면, 선물은 만기에 행사가에 따라 현물이 교환되는 반면, 스왑은 만기에 현금이 오간다. 대표적인 스왑으로는 마이클 버리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대형 투자은행들을 상대로 막대한 수익을 얻어낸 신용부도 스왑이 있다. 

 

크립토의 경우도 선물과 옵션, 스왑이 있다. 하지만 크립토는 그 변동성 때문에 현물 보유를 꺼려하는 투자자들도 있다.이들을 위해서 현물의 방향성에만 투자할 수 있도록 무기한 스왑이 만들어졌다. 무기한 스왑에는 현물이 오가지도 않고 만기도 없기 때문에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비유동자산에 대한 만기가 없는 선물은 1990년부터 제안이 되었으나, 크립토 시장에서 무기한 스왑의 형태로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Bitmax에서 처음 선보인 이 상품에는 100배 레버리지가 가능하게 되었고 거래방식도 간단했기 때문에 현물과의 가격차이를 심화시키기도 했다. 때문에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했고 일종의 비용으로 Funding Rate가 사용되게 되었다.

 

 

https://medium.com/derivadex/what-is-the-funding-rate-for-perpetual-swaps-a0335c4228a9

 

무기한 스왑 계약은 롱포지션에게 Funding rate가 양(+)일 경우 숏포지션에게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하도록, 음(-) 일 경우 숏포지션이 롱포지션에게 비용을 지불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일정한 포지션을 유지하는 데에 Funding rate 압박이 작용하여 현물과의 가격차이가 없진 않겠지만 어느 정도 조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Funding rate가 높다는 것은 롱포지션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낮다는 것은 숏포지션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이를 현물시장의 방향성에 대한 지표로 참고할 수도 있다. 

 

 

 

 

 

 

 

 

 

Comments